현시점 우리는 어떤 대응을 해야되는가 (3) EP.15
지난 게시글 이어서 PFP NFT 프로젝트에 대하여 글을 작성해 보려 합니다.
우리는 다가올 웹3.0 시대에 앞서 NFT의 안정기에 머문지금 PFP NFT에 주목 해야 될 것입니다
.
규제도 세금도 없는 NFT는 지난 암호화폐의 특금법 계정까지 처음 주목받은 2017부터 2021년까지 총4년이 걸린걸 감안하면 작년 2021년 주목받은 NFT는 2025년쯤 되어야 과세든 특금법이든 규제의 틀안으로 들어올 것입니다.
물론 규제가 생기고 법적 테두리안에 있어야 보다 안정적일수 있지만 투자자 입장에선 자유로운게 보다 많은 수익을 가져다 줄 것입니다.
앞으로 최소 2~3년간은 NFT가 새로운 버블의 종착지가 될 것입니다.
지난 유동성 버블로 편승한 실천없이 디스코드와 밈으로 모인 NFT들은 도태 될 것이고 탄탄한 특전을 제공하는 NFT 프로젝트는 더욱 견고 하게 다지면서 우상향 할 것입니다.
앞으로 PFP NFT 홀더는 해당 NFT 커뮤니티 회원권을 소유하게 되는 것이고 VIP 맴버쉅 특전 혜택을 누릴 것입니다.
이러한 VIP 맴버쉅 마케팅은 기존에는 상위 계층에게 제공 되었 습니다.
백화점에서 일정 금액이상을 구입하면 등급을 나누어 라운지를 제공하고 발렛도 해주고 레스토랑 이용권도 주며 차량에 달게되는 VIP 멤버쉅 카드가 곧 부의 상징이자 우월감의 증표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차별화된 특전을 제공하는 회원권 개념의 PFP NFT프로젝트가 빛을 볼 것입니다.
만일 패션왕 작가 기안 84가 우기명을 캐릭터화하여 1만개의 서로다른 우기명을 NFT로 발행하고 소유한 홀더는 앞으로 패션왕의 2차 수익 로얄티와 IP를 제공하고 기안 84의 주변 작가들의 컴퍼런스 참여권과 앞으로 우기명을 통한 2차 창작물의 저작권 수익 로얄티를 그리고 커버넌스 기능을 제공하여 앞으로 작품 컨셉, 갤러리 전시등의 결정을 홀더들이 결정할수 있다면 우기명 PFP NFT는 보다 많은 가치를 부여할 것입니다.
이러한 PFP NFT를 통한,VIP 맴버쉅 회원권의 열풍이 다가 올 것은 우리사회의 흐름에도 연관이 깊을 것입니다.
우리는 지난 코로나로 비대면 디지털시대를 경험한 뒤로 초개인화 시대 즉 나를 중심으로 사는 시대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트랜드를 빠르게 케치하는 대기업들의 광고 방식도 연예인이 아닌 일반인인 나 자신을 광고 모델로 쓰는 삼성과 디지코 KT 등 이전과는 많이 다른 흐름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집값과도 연간이 있습니다.
어차피 평생 모아도 집을 못 산다는 절망을 오히려 누리며 살자고 나를 위해 살자는 중심으로 바뀌어서 비싼 모마카세, 호캉스, 미슐랭등 자기만족을 위해 지갑을 열고 있습니다.
조만간 PFP NFT 시장에도 VIP 맴버쉅 회원권을 보유하기위해 조기민팅 이나 2차시장에서 거래하는 것이 늘어날 것입니다.
최근 열풍이였던 스테픈 NFT처럼, 걸으면서 돈을 벌려면 회원권 개념인 스테픈 NFT를 사야됐구, 수요가 폭팔하여 가격 또한 급등하곤 했습니다.
이처럼 경제적인 혜택과 경품, 문화혜택, 컨퍼런스등의 특전을 제공하고 NFT홀더는 곧 해당 NFT 프로젝트의 VIP 맴버쉅 회원권이 되는것이고 수요가 급증하면 가격 또한 크게 상승하며 제2의 뉴메타가 될 것입니다.
예를들어 오징어 게임의 감독이 추후 넷플릭스에 공개할 컨텐츠에 투자할수 있는 자격을 주고,흥행시 로얄티를 배분하고 VIP 관람 티켓이나, 여러 특전을 제공하는 NFT를 5천개 발행 한다면 대다수가 해당 NFT를 구입해서 VIP맴버쉅 회원이 되려할것입니다.
또한 예시로 암호 화폐로 수백억수익을 낸 트레이더가 직접 자산을 운용해서 원금은 물론 수익률도 은행 예금이율을 훌쩍넘은 1~2%를 제공해주고, 누릴수 있다면 이또한 해당 NFT를 구입해서 VIP 맴버쉅 회원이 되려고 할 것입니다.
우리는 제2의 NFT뉴메타인 PFP NFT 프로젝트 붐을 맞이할 준비를 해야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