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돈의 흐름은 어떻게 될것인가 (1) EP. 18
오늘은 앞으로의 돈의 흐름에 관심을 가져서 글을 작성해 보고자 합니다.
우리은 혹시나 했던 크립토빙하기의 초입부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이는 금리인상과 양적긴축으로 유동성 감소의 영향도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투자심리로 볼때 떨어질때가 되서 떨어지고 그 하락 이유는 끼워 맞쳐졌던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더 또한 지난 크립토시장에서 2017년부터 매매를 해오면서 영원한 상승은 없다는걸 깨달았습니다.
그러다 보니 어느새 배어마켓 성향을 지니고 오히려 하락장세때 더 많은 수익을 가져다 준것같습니다.
하지만, 또한 영원한 하락도 없을거구 중간중간 이벤트성으로 선물 포지션의 청산을 노린 장대 양봉도 나올겁니다.
시장의 매수세와 영양력이 개인 투자자들로부터 멀어지면 소수의 마켓메이커들이 가격을 조작하기에 더욱 낮은 비용으로 큰 영양력을 행사할수 있습니다.
아마도 앞으로의 경기침체, 크립토빙하기 상황에서 많이 경험할수 있을것 입니다.
인위적인 상승과 하락장의 배후가 거래소 일수도 있고 기관일수도 있습니다.
이건 현물 ETF가 승인 되기전까지 유효할것이구 그이후의 비트코인은 큰시가총액을 점유하여 이미 높은 가격이여서 큰변동성은 없을겁니다.
마치 금가격이 10%가 하루만에 오르면 많이 오르듯 비트코인도 높은 시가 총액과 가격을 도달 한뒤에는 많아야 10~20% 정돌가 끝일것이구, 그쯤도면 오히려 기회의 문턱이 없어지는것이죠, 물론 그때도 새로운 투자상품이 나와서 새로운 버블을 만들고 신흥부자를 만들어줄수있지만, 그시기쯤 이미 70%는 로봇이 일을 대체하여 기본 소득을 받으며 살아가는 잉여인간이 많이 양성 되어 더 이상의 산업발전과 경제성장은 더딜것이고 이는곳 함께 따라오는 투자 버블도 줄어들게 될것입니다.
간단한 예로 지금에야 직장인들의 연봉이 책정되구 은행에서 그에 맞는 신용 대출을 해주고 이자금들이 자산시장에 유입될수 있는데, 만일 전세계 70%가 기본 소득을 받으며 삶을 영위 한다면 자산시장에 유입될 대출금이나 기본자산들이 급격히 줄어들것입니다.
제가 강조하고 싶은건 앞으로의 기회의 문턱은 좁아질 것이구 하지만 기회은 존재할 것 이라는 겁니다.
매우 비관적일수 있지만 희망적이며 현실적일 것입니다.
그러면 앞으로의 돈의 흐름은 어떻게 될까요?
지금 같이 고유가 이면서 물가는 오르고 주식, 코인, 부동산은 고점을 찍고 하락하여 금리는 오르는 이런 경험은 역사에나 기록될 경험일 것입니다.
하지만 언젠가는 유가나 물가는 잡히게 됩니다.
주식 코인 부동산은 모르겠지만 고유가 고물가는 잡힐것입니다.
여기서 중요한건 이 고유가 고물가에서 이득을 보는 사람은 누구이며 이 막대한 이득의 다음 종착지는 어디일지 생각해 봐야 될것입니다.